-
2025 신규 전자자료: Web of Science Research Assistance도서관 가이드 2025. 3. 25. 15:51
Web of Science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생성형 AI 서비스, Research Assistant를 다음과 같이 소개합니다.
- 접속 (*도서관 홈페이지 로그인 필요)
- 도서관 홈페이지 > 자료이용 > Search > AI 학술탐색
- 도서관 홈페이지 > 자료이용 > Browse > 데이터베이스 > Web of Science Research Assistant
- 특징
- Web of Science 데이터(서지정보)를 학습한 생성형 AI로 신뢰도 높고 검증 가능한 데이터 제공 (한국어를 포함한 다국어 검색 제공)
- 문서 검색, 연구 주제 탐색, 문헌 리뷰, 출판 저널 탐색, 전문가 식별 등 다양한 검색 및 분석을 지원함
- 내용 자세히 보기 : 도서관 홈페이지 > 연구학습지원 > 정보탐색 및 수집 > AI 기반 학술 탐색
- Research Assistant 살펴보기
[ 지능형 검색 및 작업 기반 안내 제공 ] - 자연어, 다국어 쿼리를 사용해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.
- 간결한 개요와 코멘터리를 통해 핵심 개념을 더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
- 해당 분야의 주요 연구자를 찾아 링크를 통해 상세 프로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
- 다이나믹한 시각화(visualization)를 통해 의미 있는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.
[ 주제 맵 (Topic maps)을 통해 관련 주제 영역 표시 ]
[시계열 그래프를 통한 출판 논문 경향]
Web of Science Research Assistant는 믿을 수 있는 AI와 맞춤형 지식 그래프를 활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문헌 집합(Corpus of literature)에서 정보를 추출하고 시각화하여 연구자에게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.클래리베이트 학술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, 이는 기술 백본 역할을 하여 클래리베이트의 학술 및 정부 솔루션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쳐 AI 기능을 신속하고 일관되게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[ 생성된 응답과 함께 참조된 문서 세부 정보 보기]
Web of Science 지식 그래프의 상호 연결된 정보 네트워크에 AI 기술을 결합하면, 사용자가 보다 정교한 쿼리를 수행하고 문헌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습니다. Research Assistant는 연구자의 수고를 덜어주고 검색 자체의 효율성을 높여 콘텐츠, 사람, 기관 간의 연관성을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Research Assistant 경희대 교육영상 다시보기 (로그인 필요)
학술정보 교육 교육동영상 자료실 |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
lib.khu.ac.kr
문의: 학술연구지원팀 961-0079, khsd3016@khu.ac.kr
'도서관 가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도서관 가이드] 법학도서관 이용 안내 (0) 2025.03.27 2025 신규 전자자료: KoreaScholar(코리아스칼라) (0) 2025.03.25 EBSCOhost Ultimate Package 시범서비스 안내 (2025년 1월까지) (0) 2024.12.17 텍스트·데이터 마이닝 솔루션 TDM Studio 안내 (0) 2024.12.17 [도서관 가이드] 열람실을 이용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(0) 2024.12.16 - 접속 (*도서관 홈페이지 로그인 필요)